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인제대신문
  • 입력 2017.11.13 16:50

기권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바야흐로 총학생회 선거철이다. 지난 주부터 선거 운동이 시작됐고, 학생들의 무덤덤한 반응도 예년과 유사하다. 우리 대학은 올해도 대부분 단대에서 단독 후보가 등록해 찬반 투표로 내년 일꾼을 뽑게 된다. 여전히 ‘적폐청산’ 열망이 뜨겁고, 각 곳에서 촛불 1년을 기념하는 집회, 행사가 다채로운 마당에 자치와 민주주의가 다시 학생회 선거의 화두가 될 법한데, 어떤 매너리즘이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지 유권자가 이 ‘잔치’에 별 관심이 없다.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세례를 가장 많이 받은 곳 중 하나가 대학이고 보면 자치와 민주주의만큼 대학에 어울리는 단어가 없는데도 그렇다.
무엇이 우리를 냉랭한 유권자로 만드는가. 피로, 취업, 성의 없는 공약, 마음에 들지 않는 후보, 이유는 많겠으나 어느 것도 투표하지 않는 나를 온전히 설명할 수 없다. 단대별 차이는 있었지만 작년에 총학생회 투표율은 55%를 간신히 넘겼고 문리대, 공과대학의 투표율은 이보다 저조했다. 투표를 독려하는 벽보가 사방에 붙었고, 투표일도 이틀이었으니 일정상 문제라기보다 문자 그대로 기권자가 많았던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물어보면 귀찮아서, 투표하나 안 하나 어차피 똑같으니까 등의 대답이 나올 것이다. 우리가 흔히 내뱉는 기권의 이유들이다. 
기권도 유권자의 권리임을 모르지 않는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것이 과연 유권자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하는 ‘당당한’ 기권인지는 의문스럽다. 찬/반 투표에서 기권으로 후보자를 판단하려면 공약부터 됨됨이까지 샅샅이 공약집을 읽고 토론회를 참관해야 하는데, 작년에도 그런 풍경은 보이지 않았다. 지난해 대학가의 시국선언 당시 논란이 된 총학생회의 ‘중립 선언’은 매년 45% 기권율이 만든 우리대학의 씁쓸한 자화상이기도 했다.
민주주의는 누가 선물로 줄 수 없다. 선거에서 뽑힌 ‘리더’들이 알아서 민주주의를 잘 지키리라 믿어서는 안 된다. 그들을 민주주의에 충실하게 하고 민주적으로 조직을 운영하게 하는것은 제대로 투표하는 평범한 유권자들이다. 찬반 투표일수록 기권표는 더욱 버려지는 표가 된다. 死票도 아니고 문자 그대로 버려지는 표라면 너무 아깝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