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우울증’이 낳은 OECD 국가 자살률 1위, 대한민국

우울증 및 자살 예방을 위한 국가의 대처 필요해...

[연도별 자살사망자 수 및 자살률 / 출처 = 보건복지부]
[연도별 자살사망자 수 및 자살률 / 출처 = 보건복지부]

OECD 가입국 중 자살률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의 올해 자살률이 전체적으로 3.3% 감소했다.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 2,906명으로, 올해는 이보다 446명이 줄었다. 이는 4년 만에 가장 낮은 자살률을 보였다. 

그러나 통계청에 따르면 10대에서 20대는 자살률이 0.6%, 40대는 2.5% 증가했으며, 여전히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일본, 미국, 스페인 등 OECD 주요국 자살 사망률은 OECD 표준 인구 10만 명을 기준으로 평균 10.6명이지만, 한국은 22.6명으로 평균보다 2배 높은 자살률을 보인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렇게 많은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이유로는 ▲우울증(35.4%), ▲사회적 고립(29.1%), ▲경제 문제(27.6%), ▲가족 및 인간관계 불화(9.9%)를 보였다. 특히 우울감과 같은 정신적 문제로 자살하는 사람들은 2019년부터 계속 오르고 있다. 여성의 경우 전 연령대가 자살 충동 이유로 정신적 문제를 지목할 만큼 심각했다. 지난해 우울증 진료환자 통계에 따르면, 2017년과 비교해 연령대별 환자 증가 폭이 20대는 127.1%, 10대는 90.2%, 10대 미만은 70.2% 증가했다. 또 사회적 고립은 2021년 34.1%로 2019년에 비해 6.4% 증가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고립도가 증가하는 편이긴 하나, 20대와 30대도 20% 후반대를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우울증, 사회적 고립감 등으로 생을 마감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추세 속에서, 정부는 자살 방지를 위해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가 출범시킨 '자살위기극복 특별위원회'가 6개월 만에 운영 중단했다. 이는 대통령 직속 대책위 설치를 촉구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여기며 지자체, 의료계, 종교계, 시민단체 등이 함께 자살 예방을 위한 노력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