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인제대신문
  • 입력 2017.08.28 14:43

제도의 본질을 생각할 때

2학기부터 스마트출결이 전면 시행된다. 지난 1학기에 교양과목에 전격 도입된 스마트출결은 많은 교수, 학생들의 원성을 산 바 있다. 시스템 불안정에 따른 잦은 출결 오류, 강의실 바깥에서 신호 감지, 종합정보시스템과 연동 기능, 스마트폰 미소지자 문제, 대리 출석 논란 등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일부 기종은 해당 어플을 쓸 수 없어 학생의 출석을 강의실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고 교수가 이를 다시 출결 시스템에 ‘옮기는’ 이중 수고를 해야 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출석 호명 시간은 스마트출결을 처리하는 시간으로 대체됐다. 이 문제에 대한 다수의 시선이 우호적일 수 없는 이유다.
새로운 제도 도입에 따른 논란은 불가피하다. 기존 제도에 익숙한 이들은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저항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성공적으로 정착했다고 평가받는 ‘셔틀버스 예약제’도 시행 초반 학생들의 불만이 상당했다. 줄 서서 기다리지 않게 되었고 노선별 수요 예측이 수월해졌지만 이는 예약제 이전에도 크게 힘들이지 않고 할 수 있었던 것들이다. 그럼에도 이 제도가 수월하게 정착된 까닭은 학생들이 통학의 편의를 돕겠다는 제도의 취지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제도의 취지가 제도의 본질에 부합했던 것이다.
스마트출결은 장거리 통학생만 해당되는 셔틀버스 예약제와 달리 전 교수, 학생이 해당되며 성적 사정 등 행정에도 직접 관련된 큰 사안이다. 따라서 1학기 시범 운영 결과 노출된 문제 전반에 대해 학교 당국은 숙고해야 한다. 새 제도에 저항감을 느끼는 사용자들을 구식으로 몰고, 매뉴얼을 배포, 교육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같은 제도를 도입했으나 몇 년 못가 원래대로 되돌린 타 대학의 사례를 꼼꼼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불안정한 시스템은 당연히 보완해야 하지만 동시에 이 제도의 본질을 묻는 사용자들이 동의할 답을 주어야 한다. 구성원들에게 이 제도를 도입하여 생길 교육적 효과를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2학기 전면 시행은 제도의 본질을 재고하는 시간일 것이다. 구성원의 의견을 두루 듣고 천천히 움직이는 것은 후퇴가 아니다. 도입 후 몇 년 못 가 철회가 논해진다면 그것이 낭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