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김동욱 기자
  • 지역
  • 입력 2019.11.03 16:10
  • 수정 2019.11.04 11:45

“대학, 경쟁하기보다 협력해야”

인제大담② - 홍재우 경남연구원장

▲ 홍재우 경남연구원장

 

지난 번에는 전민현 본교 총장을 만나 대학의 위기와 앞으로의 발전방안에 대해 묻고 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호 대담은 홍재우 경남연구원장과의 인터뷰로 이어간다. 본교 공공인재학부 교수이기도 한 홍 원장은 이제 막 취임 1주년을 맞이했다. 경남연구원은 경상남도와 18개 시·군이 출연한 공공정책연구기관으로 1992년 설립 이래 산업경제, 지역개발, 문화관광, 복지,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발전을 위한 비전과 정책을 제시해 온 대표적인 싱크탱크다. 최근들어 지방자치, 지방분권에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본교 구성원 대다수가 속한 경남의 향방을 물었다. 또한, 전민현 총장이 생각하는 대학 발전방안이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동반성장하는 일인 만큼, 이에 관한 혜안을 홍 연구원장에게 듣고자 했다. -편집자 주

 

Q. 지역마다 분권시대를 대비하는 것이 강조되는 추세인데 이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A. 지난 9월 수도권 인구가 전국 인구의 50%를 넘었다. 중앙 집중화가 너무 되다 보니까 지방은 소멸위기가 야기되고 있고 국가발전도 정체가 되는 상황이다. 특정 지역에 지나치게 집중되다보니 지방분권시대에 지역이 다시 살아나는 게 중요하고 이것이 우리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국가의 발전 전략을 위해서라도 지방이 살아나야되고 지방이 살아나는 데 있어서 수도권가 대비되는 발전의 축이 마련되야한다. 

발전의 축에서 선두주자는 우리 동남권이 돼야한다. 부울경을 포함한 동남권이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수도권으로 모두 빨려가는 것이 아니라 국토의 남과 북에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대학도 (논하자면) 과거의 정부 정책들은 대학을 경쟁시키는 데 집중해왔다. 하지만 지역의 사정은 대학이 경쟁도 중요하지만 힘을 합쳐야되는 상황이다. 그래서 중앙정부에 계속 요구를 해서 대학의 여러 사업들을 교육부가 모두 중앙에서 컨트롤 하는 게 아니라 지역단위에서 지방정부가 핵심이 돼서 지역에 있는 대학들의 연합체를 만들어 대학의 교육 수준이나 R&D 개발 역량을 높이고 또 스무살만 되면 가는 대학이 아니라 평생 대학 교육의 자장(磁場) 안에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요즘은 평생 직업이 없다. 직장을 바꾸고 싶다면 재교육을 받기 위해 언제든지 문을 두드려서 다시 교육을 받을 수 있게끔 하는 곳이 대학이 되어야 한다.
수능만 보고, 수시만 보고 이게 다가 아니고 언제든지 도 안에서 대학의 교육을 평생 받을 수있는 체계로 나아가야 한다. 

 

Q.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대학이 위기에 처했다. 이러한 기류가 지역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A. 교육계에서는 ‘벚꽃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망한다’라는 이야기를 흔히 들을 수 있다. 지금과 같이 대학이 서로 경쟁하고 자기 먹거리만 찾는 방향으로는 발전하기 어렵다. 대학이 협력하는 플랫폼이 생겨야 지역이 산다. 그래서 공동 학위과정 캠퍼스 등을 만들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런 대학의 각각의 역량을 합칠 수 있는 게 필요하다. 

동시에 우리가 부산이나 서울권 대학과는 다른 점이, 지역이 서로 떨어져있어서 각자의 지역에서 혁신의 주체가 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지역사회에 아직 깊숙이 뿌리를 못 내리고 있다. 미국의 러스트 벨트와 같은 역은 2~30년 동안 철강 산업 등 주요 산업이 쇠퇴하면서 어려워졌다. 이런 도시들이 다시 살아 난 사례를 보면 지역의 대학이나 지자체, 시민사회와 같은 혁신의 주체들이 통합해 노력해서 지역을 살려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경남에 있는 대학들이 다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자신들의 지역에서 혁신의 주체가 되지 않으면 (살아남기가) 조금 어렵다. 대학 나와서 1년 정도 보니까 생각보다는 위기가 심하고 그런 위기를 대학이 충분히 느끼지 못한다는 생각이 든다.

 

Q. 지역과 대학이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

A. 김해시 도시재생지원센터나 사회적공동체지원센터 등 지방에 우리 학생들이 진출해있다. 학교 앞에서 하고 있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역시 주체는 대학이다. 대학과 지역이 협력하는 사업으로 대학의 담장을 허물어서 지역민들이 활동할 수 있게 해야한다. 여기서 부터는 대학, 여기서부터 다른 동네 구분하는 게 아니라 서로 스며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재생사업은 인제대 인근에) 대학 구성원과 지역민에게 개방할 공간을 하나 둘씩 마련할 계획인 것으로 알고있다. 또 공대나 이과쪽 R&D 프로그램을 지역 산업과 지역의 중소기업과 협력하는 사업을 꽤 오랫동안 해왔고 본격적으로 조금 더 규모를 키울 필요가 있다.

최근에 강소연구단지사업에 우리 경남도와 세 군데가 선정됐는데 그중 한 곳이 김해의 핵심 기반이 인제대학교다. 

 

Q. 경남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창원과 김해로 청년이 유입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A. 그게 꼭 좋은 것만은 아니다. 창원과 김해로 조금 유입되고 있다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할 게 아니라 고등학교 때부터 청년들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야한다. 그리고 어떻게 막는가보다 청년들이 머물 수 있는 요인들을 만들어 내야한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일자리다.

좋은 일자리와 문화적 역량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쉽게 말해서 살만한 곳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가 중요하다. 인구문제 이야기를 하면 앞으로 인구는 점점 줄어들고 고령화가 심해질 것이다. 지금까지 인구정책은 출산정책에 있다.

어마어마한 돈을 부었지만 잘 안 된다. 물론 기존에 하던 출산 장려정책은 지속해야하지만 그것 보다는 변화하는 인구 구조하에서 (지역사회를) 어떻게 지탱해 나갈지에 관해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또 각 지역에서는 가능한 어떻게 젊은 층을 많이 흡수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청년들이 머물 수 있고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더라도 부양해야할 인구는 늘어날 수 밖에 없다는 점 또한 감안해야 한다. 앞으로의 모든 정책은 인구가 어떻게 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서 정책들을 진행해야한다. 

 

Q. 끝으로, 대학 구성원들에게 전하고싶은 말이 있다면?

A. 도전을 많이 했으면 좋겠다. 우리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쳐보면 시작하기 전에 좌절하는 경우가 꽤 많다. 자기의 위치를 객관적인 상황보다 좋지 않은 출발선에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자기를 과대평가하는 것도 문제겠지만 가치를 낮게 생각하고 출발하지 않으면 좋겠다. 나도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도전을 했으면 좋겠다. 선배들 중에서도 성공한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계속해서 도전하면 좋겠다.